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■ KT노조 민노총 탈퇴<BR><BR>탈퇴 러시땐 조직축소 위기<BR><BR>IT산업연맹은 와해상황까지<BR><BR>"새로운 정책기조 표방 필요"<BR><BR>KT 노조가 17일 민주노총 탈퇴를 결의함에 따라 민노총은 조직과 리더십에 큰 상처를 입게 됐다. KT 노조는 조합원이 3만여명으로 민노총 산하 기업노조 가운데 세번째로 큰 조직이다. 이번 탈퇴로 민노총은 조직 규모가 위축되는 것은 물론 다른 산하 노조의 추가 탈퇴까지 염려해야 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.<BR><BR>당장 KT 노조의 상급단체인 전국IT산업연맹은 조직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KT 노조가 빠져나가면서 조직이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. IT산업연맹은 전체 조합원이 3만7,000여명(노동부 추산)으로 KT 조합원을 빼면 7,000명밖에 남지 않는다.<BR><BR>연맹의 한 관계자는 “21일 열리는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앞으로의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”이라고 밝힐 뿐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.<BR><BR>민노총은 KT 노조의 탈퇴에 대해 애써 당혹스러움을 감추고 있지만 혹시나 이번 일로 산하 노조들의 탈퇴 러시가 재연될까 조심스러워 하는 모습이다. 민노총은 올 상반기에만 인천지하철ㆍ인천국제공항공사 등 10여개의 산하 노조들이 잇따라 탈퇴하면서 한차례 큰 홍역을 치렀다.<BR><BR>민노총이 KT 노조의 탈퇴와 관련해 “상급단체의 가입과 탈퇴는 조합원들의 자유로운 의사선택에 달린 것”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한 것도 이번 일로 산하 노조들의 탈퇴 러시가 재연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.<BR><BR>지난 6월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민주노총의 전체 조합원 수는 65만8,118명(2008년 기준)으로 전년 대비 3.6% 감소했다. 반면 미가맹 노조는 28만2,666명으로 2002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. 민노총으로서는 KT 노조의 탈퇴 불똥이 산하 노조의 도미노 탈퇴로 이어지는 것이 두려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.<BR><BR>민노총은 이번 KT 노조의 탈퇴로 리더십에도 큰 상처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. 올 상반기에는 산하노조들이 줄지어 연맹을 탈퇴한 데 이어 정권퇴진운동까지 내세우며 총력을 기울인 하투마저 산별연맹들의 외면으로 유명무실해졌다. 이런 상황에서 민노총 내 3대 기업노조 가운데 하나인 KT 노조의 탈퇴는 흔들리는 민노총의 리더십을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.<BR><BR>최영기 경기개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“이번 KT 노조의 탈퇴는 단순히 규모뿐만 아니라 상징성도 크다”며 “이는 민노총의 운동노선과 산하 조직에 대한 정책적 리더십의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에 벌어진 것”이라고 주장했다.<BR><BR>그는 “민노총이 변화한 노동상황에 맞는 새 노선과 정책기조를 표방하지 않는 한 이 같은 일은 계속 되풀이될 수밖에 없을 것”이라고 지적했다.<BR><BR>이에 대해 이승철 민노총 대변인은 “정치 투쟁을 그만두고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것은 노동조합의 사회적 역할을 방기하겠다는 뜻으로 매우 우려되는 일”이라며 “정치투쟁을 나쁘다고만 해선 안 된다”고 반박했다. <BR>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